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제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우리말 만드는 원칙 지금은 비록 들온말(한자말, 일본말, 영어, 그 밖에 들온말투) 때문에 우리말이 빛을 많이 잃었지만, 우리말은 말 만드는 힘이 뛰어난 말입니다. 가끔 한자말을 받드시는 분들이 ‘한자는 말 만드는 힘[조어력]이 뛰어나다’고 하시는데, 말 만드는 힘은 우리말이 더 뛰어납니다.(이를 두고는 ‘우리말을 두고 흔히 듣는 잘못된 논리‘를 봐 주시기 바랍니다.) 이에, 들온말에 맞는 살려쓸 우리말을 이미 잃어버렸거나 딱히 걸맞는 말이 없어 새로 우리말을 만들고자 할 때에 더 쓰기 좋은 우리말을 만드는 원칙을 생각해 봤습니다. 좋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 우리 말법에 맞으면 더 좋다. 우리 말 만드는 법에 맞으면 더 좋다고 봅니다. 우리말법에 따르면 미루어 짐작하기도 좋거니와 우리말 만드는 힘을 더욱 키우게 됩니다. .. 더보기
일본말을 그대로 옮겨 남은 찌끼들 일본말을 직역해 남은 찌끼들 일본말을 직역한 어색한 구절이 우리말에 찌끼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몇몇 지식인들이 유식한 말투를 쓴답시고 허투루 이런 구절을 써온 탓이다. 앞서 예로 든 ‘악법임에 틀림없다’, ‘말에 다름아니다’, ‘참여 있으시기 바랍니다’, ‘발품에 값한다’ 등이 그런 어색한 구절들이다. ‘~임에 틀림없다’는 일본말 ‘~にちがいない’를 직역해 우리말로는 토씨 ‘이’를 써야 할 자리에 일본말 ‘に’를 그대로 옮긴 ‘에’를 쓴 구절이다. ‘악법임에 틀림없다’가 아니라 ‘악법임이 틀림없다’로 써야 우리말다운 표현이 된다. 그림씨(형용사)인 ‘틀림없다’가 문장에서 주어 없이 홀로 서술을 완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에 다름아니다’도 ‘~にほかならない’를 직역한 구절이다. ‘다름아니다’를 ‘.. 더보기
소리 내[발음]기 좋고 알아듣기 쉬운 것이 바로 (순)우리말이라고 봅니다. 이 글은, 어느 분이 쓰신 '순우리말보다는 이해하기 쉬운말을 우리 발음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글에 엮어 쓴 글입니다. ---------- 안녕하십니까? 글 잘 읽었습니다. 그리고 썩 좋은 문제 제기라고 생각합니다. 쓰신 글 중 '우리 말은 조사와 어순 빼고는 서양말'이란 부분은 아마도 서양말이 아니라 한자말이라는 것을 읽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말 중 70%가 한자말이라고 알고 있습니다.(특히 한자를 쓰자고 하시는 분들 중에 그런 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반드시 사실은 아닙니다. 기사 참조 : http://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376204.html 하지만, 우리가 말글살이(언어생활)을 잘못 해 온 탓에(혹은 우리 말을 지키는 데.. 더보기
'-하기 위해' 말 버릇 방금 제가 어딘가에 글을 쓰다가 ‘편한 토론을 위해’라고 글을 쓸 뻔 했습니다. ’-을 위해’라는 번역투 말버릇을 바꾸려다 보니 그것만 바꾸기는 참으로 어색하였습니다. 그래서 바꾼 말이 ‘편하게 토론하려고(하려면)’… 둘을 놓고 보니 잘못 든 말버릇이 무엇인지 뚜렷해 집니다. 또 다른 보기를 생각해 냈는데… ‘편한 잠자리를 위해’->’편하게 자려고(자려면)’ 이 ‘편한 토론’ 같은 것도 뒤에서 꾸밈을 받는 영어 번역투가 아닐까 궁금합니다. 여러분들 의견은 어떤지요? 더보기
I am poor at Korean... 혹 궁금하실 분들이 계실까 하여 궁금증부터 풀어놓고 시작하겠습니다.^^ 'I am poor at English.' 이 말은 영어를 할 줄 모르는 제가 혹시 외국인을 만나면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외워 둔 비상용[非常用](!) 영어 회화입니다. 그런데 요즘 새로 우리말을 배우고 있습니다. 다행히 가갸거겨는 뗐는데, 우리말을 잘 못해요~ 맨날 쓴다는 것이 한자말에 들온말이죠... 그래서, 올해는 '-의', '-적(的)', '-되다' 같은 걸 좀 줄여보려고 합니다. 하지만 워낙 버릇[습관]이 되어놔서 쉽지가 있습니다. 버릇이란 것이 무섭긴 무섭습니다.^^ 그렇게 '-의', '-적'을 안 쓰려다 보니 새로운 것도 알게 됩니다. 우리가 '-의', '-적'을 유난히 많히 쓰게 되는 까닭이 바로 한자말(한자말에는 중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