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키는대로...

낡은 휴대폰 싸게 바꾸는 법

낡은 휴대폰 싸게 바꾸고 싶은데…
"휴대폰이 너무 오래된 모델이라 요새 잘나가는 슬림폰으로 바꾸고 싶어요. 가격이50만원이나 해서 부담이 되긴 하는데…"

대학생 정유석 씨(25)는 그 동안 모은 용돈으로 휴대폰을 바꾸기로 결심했다. 하지만 최근 신문에서 '내년 3월 말부터 휴대폰 단말기 보조금을 지급해 휴대폰 값이 싸진다'는 기사를 읽고 망설이는 중이다.

휴대폰을 바꾸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이 혼란을 느끼고 있다.

지난 25일 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단말기 보조금 정책 개선 초안 때문이다. 지금 사야 하는지, 기다려야 하는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소비자 유형별로 어떤 행동이 가계부에 유리한지 알아본다.

◆ 같은 이동통신회사에 오래 가입했다면=정씨는 현재 A이동통신회사에 2년반째 가입하고 있다. 내년 4월이면 3년째 장기 가입자가 되는 셈이다.

정통부 안에 따르면 내년 3월 27일을 기준으로 같은 이동통신회사에 3년 이상 장기가입했으면서 단 한 번도 중간에 해지한 적이 없는 사람은 단말기 보조금 혜택을 받게 된다.

정씨의 경우는 당분간 참고 기다리는 게 가계부에 도움이 된다. 보조금을 받으면 소비자들은 정가보다 싸게 구입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정책이 시행되는 때를 노리고 제조사와 이통사들이 신모델을 잇따라 선보일 계획이라 선택 폭도 넓어진다.

하지만 정씨 휴대폰은 버튼조차 잘 눌러지지 않는 상황.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어 바꾸기로 결심했다.

이 때에는 번호이동성제도(현재 쓰는 번호 그대로 이동통신회사만 바꾸는 것)를 이용하면 좋다. 번호이동을 할 경우 같은 이통사에 머물며 단말기만 바꾸는 것보다 저렴하게 휴대폰을 장만할 수 있다.

이통사와 대리점들이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해 번호이동 고객에게 휴대폰을 싸게 주고 있기 때문. 하지만 같은 제품이라도 대리점마다 가격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발품을 팔아야 좀 더 싸게 휴대폰을 장만할 수 있다.

이통사 관계자는 "현재 번호이동을 통해 단말기를 바꾸는 것보다 내년에 보조금을 받을 경우 단말기가 싸질 것이 거의 확실하다"면서 "정씨가 휴대폰을 고쳐서 몇 달만 더 쓰면 지금보다 더 좋은 휴대폰을 더 싸게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 이통사에 가입한 지 2년반이 안된 경우는=10월 말 현재 2년반 미만 가입자는 당장 내년 3월 말이 돼도 단말기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우선 이 때에는 3년이 꽉 차기를 기다린 후 휴대폰을 바꾸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당장 휴대폰을 바꾸고 싶다면 역시 번호이동성제도를 이용하는 것이 휴대폰을 싸게 사는 데 도움이 된다.

또 하나 방법은 신규 서비스 전용 단말기를 구입하는 것이다.

현재도 3세대 이동통신서비스로 영상통화가 가능한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CDMA)서비스에 가입하면 단말기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내년 상반기에 상용화할 예정인 와이브로(휴대인터넷)에 가입해도 된다.

이 때 단말기 가격의 최대 40%까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신규 서비스'에 해당하는 품목이 그때그때 다를 수 있다는 점이다. 위성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지상파 DMB 서비스 가입자나 KT의 '스윙폰'과 같은 PDA폰 가입자는 신규 서비스로 분류가 안돼 단말기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없다.

◆ 2009년까지 한 차례만 혜택=정통부 초안에 따르면 단말기 보조금은 2006년 3월말부터 2009년 3월 말까지 단 한차례만 받을 수 있다. 한번 보조금 혜택을 받아 휴대폰을 바꾼 사람이 다시 바꾸면 보조금 혜택이 사라진다는 말이다.

보조금 규모는 이동통신회사별로 자율로 정해진다. 따라서 같은 이동통신회사 가입자라도 가입 기간과 매달 내는 요금에 따라 보조금 지원액이 다를 수 있다.

3년 가입한 고객보다는 5년 가입한 고객이, 매달 4만원 내는 사람보다는 10만원 내는 사람이 보조금을 더 받아 휴대폰을 싸게 살 수 있다는 말이다.

정통부 초안이 국회 입법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되기까지 내용이 바뀔 가능성도 있다.

직접 이해당사자인 이통사들의 반발에 일부 시민단체도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고 국회에서도 의원마다 의견이 조금씩 엇갈리고 있기 때문.

하지만 "장기 가입자 또는 신규 서비스 가입자에게 혜택을 준다"는 기본 뼈대는 크게 바뀌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조시영 기자]

< Copyright ⓒ 매일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기사제공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