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우리말글에서 겹닿자 낱말 우리말에서 겹닿자로 끝나는 낱말들이 많습니다. 지나온 햇수를 세는 말인 '돐'은 '돌'이, '외곬'은 '외골'이 표준말이 되었습니다. 그것이 어떻게 소리나는가 살펴보면 '도리', '도를' 같이, '외골로' 같이 소리나기 때문입니다.(물론 이는 뭇사람들이 잘못쓰는 말버릇 때문이라 할 것입니다. 아마 사투리에는 겹닿소리가 살아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제가 알기로 서울 사람들은 '닭을'을 '다글'이라고 합니다.(표준말과 서울말에서 엉터리 말은 솔직히 꽤 많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깨끗하다'인데 큰나라말 떠받드는 국립국어원은 바뀐 꼴은 '깨끗이'라고 해 놓고, 서로 달리 쓰는 것으로 갖다붙여놓았습니다.) 이 말버릇에 따르면 꼬꼬댁 우는 짐승은 '닭'이 아니라 '닥'이 맞습니다. 이거 참 코가 막히.. 더보기
'우리말' 얘기와 '우리말 살려 쓰기'를 함께 합시다! 제가 요즘 '우리말'에 눈길을 주면서 글들을 꽤 쓰고 있습니다.(글 많이 쓰시는 분이 보시면 우습겠지만, 예사 때에는 글을 많이 쓰는 편이 아니라서...^^) 그러다 보니 제 글이, 제가 잘난 척하는 것으로 보이거나 아니꼬운지 가끔 괜한 딴지가 들어올 때도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누구도 제 잘못이 드러나는 것을 좋게 생각할 사람은 별로 없고 남이 똑똑한 척 하는 걸 반길 사람도 별로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쓰는 글은 쭉 쓰더라도 다른 길도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바로, 제가 쓰는 글에, 제 글이 우리말을 살려 쓰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 주는 것입니다. 특히 얼숲(페이스북)에서 글을 쓸 때는 '우리말'하고 얽혀 글을 모으고 있는 '우리말 사랑방' 누리쪽(페이지)하고 '우리말 살려 쓰기' 같은 것을 함께 .. 더보기
글로써 '한글'과 말로써 '우리말'(한말) 말글[언어]에서, 손 같은 것으로 쓰거나 치는 것은 '글자'라 하고, 입 같은 것으로 소리내는 것은 '말'이라 합니다. 우리 말글에는 글자로써 '한글'이 있고 말로써 '우리말'(한말, 겨레말, 배달말이라 하시는 분도 있습니다.)이 있습니다. 그런데 학자들-우리 말글을 연구하는 연구원이나 교수 같은 이들도...-이나 글쟁이들이 글을 쓸 때, 자주 우리말과 우리글을 섞어서 씁니다. 보기를 들어서 '한국어'라고 하면서 정작 알맹이는 '한글'에 치우쳐서 다루거나, '한글'이 우수한 것을 얘기하면서 가끔 '우리말'을 얘기하기도 합니다. 뭇사람들이야 이런 얘기를 할 일이 별로 없으니 헛갈려서 섞어 쓰더라도 적어도 학문을 하는 학자, 글쟁이 그리고 남 앞에 글을 내놓는 언론인이라면 '말'과 '글' 정도는 구분해서 말.. 더보기
들온말하고 우리말이 뜻이 다르다는 얘기를 두고 우리말을 있는데도 들온말(주로 한자말이나 영어)을 쓰는 이들에게, 흔히 쓰는 들온말을 우리말로 쓰자고 하면 들온말하고 우리말이 뜻이 다르니 그럴 수 없다(그렇게 하면 안 된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정말로 그렇습니까? 그 말도 그럴싸 한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쓰는 사람이 자주 쓰는 말에 뜻을 세게 느끼고 뜻을 넓혀 쓰기 때문이지 처음부터 뜻이 다른 것은 아닙니다. 다시 말해서 자주 쓰게 됨에 따라 느낌이 조금 더 넉넉해진 것일 것입니다. 보기를 들어, '책상'과 '데스크'가 뜻이 완전히 같은지요? '책상'은 아무래도 좀 옛스럽거나 투박한 느낌을 가진 것에 쓰게 되고 '데스크'는 서양 냄새가 나거나 잘 갖춰진(요즘 흔히 쓰는 말로 '시스템 가구') 것에 쓰면 더 어울릴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 더보기
"쉬운 말 우리말로" - 이오덕 - 이오덕 남에게 홀리지 않고(일본) 남에게 끌리지 않고(중국) 남에게 기대지 말고(미국) 홀로 서서 가는 사람 훌륭하여라. 어려운 말 하는 사람 믿지 말고 유식한 글 쓰는 사람 따르지 말자 우리말은 깨끗해요 우리말은 쉬워요 우리말은 바르고 아름다워요. 어린이들도 잘 아는 우리 배달말 할머니도 잘 아는 우리 고향 말 진달래 피고 지는 삼천리강산 배달말로 이어질 한 핏줄 겨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