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말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자말도 우리말이라는 이들에게 한자는 우리가 글이 없던 때에 빌려쓰던 글입니다. 그렇다보니 우리말에 한자말도 꽤 있습니다.(우리말에 한자말이 7할이라는 거짓말을 두고는 ‘우리말에 한자말이 70%’라는 꾸며낸 거짓말을 봐 주십시오.) 하지만 지금은 버젓이 우리글이 있습니다.(우리말은 더 옛날,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빌린 것은 결코 내 물건이 아니고 언젠가 갚아야 하는 것처럼 빌린 글은 물론이고 빌린 말은 더더욱 우리말이 아닙니다.(우리가 한때 글자로써 한자를 썼다는 것이 말로써 한자말이 우리말이라는 논리는 서지 않습니다.) 우리가 쓰는 말 안에서 마땅히 순우리말(토박이말)이 없는 말만 한자말도 우리말로 칠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옛날부터 써 왔기에 그런 것이지 요즘 새로 들어오는 딴 나라 말은 이렇게 칠 수 없습니다.(게다.. 더보기 한글학회 누리집에는 왜 여전히 한자말이 많은가? 한글학회 누리집을 보면 참으로 마음이 어수선[착잡]합니다. 우리말을 살려쓰려고 애쓴 티가 보이는가 하면 쉬이 고칠 수 있을 만한 말도 여전히 한자로 쓰고 있는 곳도 보입니다. 누리집 맨 아래에 보면 흔히 ‘사이트맵’이라고 하는 것을 ‘길그림’, 사이트운영자를 ‘누리집지기’라고 해 놓았습니다. 그런데 그 아래에는 ‘거부’라는 한자말, ‘~에 의해’라는 일본말투로 알려진 말투를 써 놓았습니다. 그런가 하면 한글학회 공식 의견이라 할 ‘알림마당’에도 우리말로 풀어쓴 말이 있는가 하면 여전히 한자말이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물론 다른 단체라면, 뭇사람들이 쓰는 말버릇을 아주 못본체 할 수는 없다고 발뺌[변명]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 글과 말을 지키려고 목숨까지 걸었던 한글학회 역사를 돌이켜 보자면.. 더보기 한자를 안 쓰니 뜻이 헷갈린다는 억지를 두고 - 쉬운 우리말을 쓰면 된다! * 이 글은 '국립국어원' 누리집, '나도 한마디'글방에 실린 '메들[Medal]이 없어도 參加(참가), 開催(개최)도 하지만~'이란 글에 답하면서 쓴 글입니다.(제목으로 찾기 바랍니다.) 정말로 한자를 적지 않으니 뜻이 안 통합니까? 님께서 쓰신 글을 한자를 빼고 다시 옮겨보겠습니다. --- 옮긴 글 시작 --- 우리나라 대구서 개최하는 육상이, 메들 따기가 하늘에 별 따기지만,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반면에, 깊숙이 들어왔고, 정신 내지 화장실까지도 만연해있는 거시기는 처다 볼 수도 없고, 도저히 알지 못하게 꾸며버린 힘은 무엇일까? ‘교육이 무너졌다’ 하기 전에, 한자가 없는 국어는 단어가 오리무중인줄도 모르고, 어원을 찾는다는 말은 찾을 수 없는 것이 우리나라국어가.. 더보기 '우리말 안에 한자말이 70%'라는 꾸며낸 거짓말 * 원 글은 http://2dreamy.tumblr.com/post/7004981532/ 입니다. 한글만 쓰기[한글전용]덧붙임 1를 말할 때나 우리말로 바꿔 쓰기[국어순화?]를 말할 때 그것이 되기 어려운 밑뿌리로 내놓는 것이 흔히 '우리말 안에 70%가 한자말'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속이 시커먼 거짓말입니다. 우선 아래 글을 한번 읽어 주십시오. - 위 두 글에서는 우리말 안에 무려 70%가 한자말이라는 거짓말을 밝히고 있습니다. 우선, 정재도 선생 말에 따르면, 일제가 맘먹고 우리말에 한자를 갖다붙인 말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옛날에 우리가 글자가 제대로덧붙임 2 없을 때 우리가 만들어서 쓴 한자말도 있을 것입니다.(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沓하고 乭 같은 한자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때 .. 더보기 소리 내[발음]기 좋고 알아듣기 쉬운 것이 바로 (순)우리말이라고 봅니다. 이 글은, 어느 분이 쓰신 '순우리말보다는 이해하기 쉬운말을 우리 발음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글에 엮어 쓴 글입니다. ---------- 안녕하십니까? 글 잘 읽었습니다. 그리고 썩 좋은 문제 제기라고 생각합니다. 쓰신 글 중 '우리 말은 조사와 어순 빼고는 서양말'이란 부분은 아마도 서양말이 아니라 한자말이라는 것을 읽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말 중 70%가 한자말이라고 알고 있습니다.(특히 한자를 쓰자고 하시는 분들 중에 그런 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반드시 사실은 아닙니다. 기사 참조 : http://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376204.html 하지만, 우리가 말글살이(언어생활)을 잘못 해 온 탓에(혹은 우리 말을 지키는 데..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