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맞춤법

[펌]외래어를 두고 한 생각 - 한글학회 누리집, '오순도순' 게시판 아래 글은, 한글학회 누리집, '오순도순' 게시판에 '펭귄'이란 또이름을 쓰시는 분이 올린 글과 그에 달린 댓글들 입니다. * 머리글 : 외래어에 대한 입장 - 펭귄 (2011-10-20 18:36:58) 저는 영어 번역을 50만 글자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느낀건 외래어는 전문가들과 국어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들여 겉모습만 한글이 아니라 단어 자체를 우리말로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Telepathy란 단어를 텔레파시로 번역해 많이 씁니다. 텔페파시가 뭔가? 자신이 보는 사전에 나오지 못하면 인터넷에서 검색해 의미를 찾아야 합니다. 텔레파시의 뜻은 인간이 말이나 글을 사용하지 않고 정신/마음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행위지요. 제가 번역한 글에서 텔레파시 대신 '마음대화'를 썼습니다. 대화를 .. 더보기
[펌]훈민정음(訓民正音)과 한글 훈민정음(訓民正音)과 한글 1. 훈민정음과 한글은 다르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세종대왕께서 창제하신 스물여덟글자로, 첫소리글자 17개와 가운뎃소리글자 11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글자들을 연서(連書)와 병서(竝書) 규칙에 따라 자유롭게 활용하여 이 세상에 존재하는 사람의 말소리를 모두 적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글자를 말한다. 동국대학교 변 정용박사가 연서(連書)와 병서(竝書) 규칙에 따라 수열과 조합이라는 수학 공식으로 소리글자의 숫자를 계산하여 보니 약 400억 개의 소리글자가 훈민정음(訓民正音) 속에 담겨져 있다고 말한다. 이 정도의 소리글자라면 가히 이 세상에 있는 사람의 말소리는 모두 표기하고도 남을 정도로 우수한 소리과학이 바로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한글은 1930년대.. 더보기
[펌]외래어의 개념과 범위 우리말에서 '외래어'라는 흐리터분한 뜻말을 두고 국립국어연구원(지금은 '국립국어원') 한예연구관이 쓴 멍청한 글이 있길래 옮겨놓습니다. 【특집·외래어와 외국어】 외래어의 개념과 범위 정희원 / 국립국어연구원 학예연구관 1. 머리말 ‘외국어는 어릴 때 배우는 게 좋다’거나 ‘지나친 외래어 사용을 삼가자’는 말을 하면서 ‘외국어’나 ‘외래어’라는 말을 우리는 흔히 사용한다. 그러나 외래어와 외국어가 정확히 무엇을 지시하는지 구분해서 설명하기란 쉽지가 않다. 교과서나 사전에서는 국어 생활 속에 널리 사용되고, 또 바꾸어 쓸 수 있는 적당한 어휘가 없는 경우만을 외래어로 규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치킨’이나 ‘키’, ‘루머’ 따위 낱말들은 외래어인가 외국어인가? 국어 단어로 인정된 말이라고 하기에는 어색하나, .. 더보기